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인파가 몰려 압박을 느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는 이번 기회에 꼭 알아두시는 게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를 통해 여러 차례 알려졌지만, 핵심 내용을 다시 정리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상황 파악입니다. <br /> <br />인파가 갑자기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한다면 밀집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신호이니 바로 빠져나와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인파에 떠밀려 내 움직임을 직접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, 군중이 이동을 멈춘다면 더 위험한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비해 주변 출구나 대피로를 미리 파악해 두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빠져나올 수 없는 상황이라면, 팔짱을 껴서 가슴 앞 공간을 확보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'군중 속 행동지침'에도 나온 요령인데요. <br /> <br />갈비뼈를 보호하고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비슷한 이유로 가방이 있다면 앞으로 메서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도 좋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인파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르고, 절대 역행하지 말아야 하는데요. <br /> <br />이때 공간이 생기면 직진하지 말고 대각선으로 가서 압박이 덜한 가장자리로 빠지는 것도 현명한 방법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 중요한 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휴대전화 등 소지품을 떨어트렸다면, 줍지 말고 포기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줍기 위해 허리를 숙였다가 다치거나 넘어지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혹여나 넘어졌을 땐 재빨리 일어나는 게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그게 어렵다면, 왼쪽 옆으로 몸을 태아처럼 웅크려서 머리를 감싸 쥐는 자세를 취합니다. <br /> <br />우선 머리와 심장, 폐 등을 보호하는 건데요. <br /> <br />위험한 상황이 좀 나아졌다면, 최대한 빠르게 다시 일어나야 합니다. <br /> <br />또 비명을 지르거나 고함을 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비명이나 고함으로 산소를 낭비하게 되면 더 질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. <br /> <br />내 주변에 누가 넘어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<br /> <br />꽉 찬 인파가 도미노처럼 쓰러져 모두가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에, 최선을 다해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. <br /> <br />내 주변이 안전해야 나도 안전할 수 있는 것, 꼭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[YTN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다. 아울러 유족들의 슬픔에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.]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22015385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